Space/Information2014. 3. 2. 01:35





태양에서 행성까지의 거리와 행성의 특징


 

수성

금성

지구

화성

태양과의
평균 거리

5,800만 km

1억 800만 km

1억 5,000만 km

2억 2,800만 km

반지름

2,439 km

6,051 km

6,378 km

3,393 km

지구를 1로
했을때의 크기

0.38

0.95

1

0.53

위성수

없음

없음

1개
(달)

2 개
(포보스, 데이모스)

자전 주기

58.65일

-243.01일

23시간
56분 4초

24시간
37분 23초

공전 주기

88일

226일

365일

686일

평균 온도

-170 ~ 430 ˚C

430 ˚C

15 ˚C

-150 ~ 120 ˚C

자전축의
기울기

2 ˚

-177.3 ˚

23.5 ˚

25.2 ˚

주요
대기성분

대기 없음

이산화탄소

질소, 산소

이산화탄소

특징

가장 작은 행성

가장 밝은 행성,
거꾸로
자전하는 행성

우리가
살고있는 행성

붉게 보이는 행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태양과의
평균 거리

7억 7,800만 km

13억 3,000만 km

28억 7,000만 km

45억 km

반지름

71,492 km

60,268 km

25,559 km

24,764 km

지구를 1로
했을때의 크기

11.21

9.45

4.01

3.88

위성수

63 개 이상

56 개 이상

27 개 이상

13 개 이상

자전 주기

9시간 50분

10시간 14분

-17시간 14분

16시간 3분

공전 주기

11.9년

29.4년

83.8년

163.8년

평균 온도

-140 ˚C

-180 ˚C

-215 ˚C

-217 ˚C

자전축의
기울기

3.1 ˚

26.7 ˚

-97.9 ˚

29.6 ˚

주요
대기성분

메탄, 암모니아,
수소, 헬륨

수소, 헬륨,
질소

수소, 헬륨

수소, 헬륨

특징

가장 큰 행성,
위성이 가장
많은 행성

고리가 멋진 행성,
밀도가 가장
작은 행성

거꾸로
자전하는 행성

가장 빠른 바람이
부는 행성,
푸르게 보이는 행성




Posted by ikSkyLand
Space/Information2014. 3. 2. 01:24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가 보내는 신호 소리입니다.





Posted by ikSkyLand
Space/Information2014. 2. 28. 21:19

국제 우주 정거장 ISS는 1998년 이후에 미국과 러시아를 비롯한 세계 각구이 참여하여 2010년도에 건설이 완료된 연구시설이다.


ISS는 부피가 약 1,000m³, 무게가 약 400,000kg 전기 출력은 약 100kw, 구조물 길이는 약 108.4m, 모듈 길이는 74m이며 총 6명의 승무원이 생활 할 수 있다.


최근 푸틴 러시아 총리는 3개의 모듈을 새로 추가해 ISS 러시아 섹션이 2016년 까지 완공 될 것이며 ISS 운용 기간을 2020년도 까지 연장하기로 파트너 국가들과 합의하였다.


ISS는 다국적 프로젝트인데 참여국가는

미국, 러시아,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영국, 벨기에,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네덜란드, 스위스, 일본, 캐나다, 브라질 모두 총 16개국이다.


그런데 인구 5천만명을 넘고, 명목 1인당 GDP 2만달러가 넘는 나라는 전세계에서 7개국 뿐인데 유일하게 우리나라만 국제우주정거장 건설 프로젝트에 불참했음


사유

1. 2000년 미국은 한국에 우주관측장비를 함께 만들자고 제안을 하면서 우리나라에 기술검증까지 했으나 예산 확보에 실패하여 무산됨

2. 2001년 말 미국이 한국에 실험 모듈 건설을 제안해온 적이 있었는데 비용이 2억 달라에 달해 참여를 포기함

3.2002년 4월 우리나라는 우주입자검출기사업을 추진했으나 무산되었음, 후년에 다시 미국 NASA에 우주입자검출기사업 제안서를 제출했으나 역시 무산됨

4. 러시아도 한때 우리나라에 ISS 모듈 제작 사업을 제안했으나 역시 무산됨









Posted by ikSkyLand
Space/Information2014. 2. 28. 21:11





미항공우주국(NASA)이 발사한 보이저 1,2호는 태양계에 속한 목성토성천왕성해왕성등 해성의 탐사와 태양계의 자기권이 미치는 범위와 그 바깥쪽을 탐사하는 것이 목적이다.


보이저 1호는 현재 지구에서 가장 멀리 있는 인공물체이며 155km 떨어져 있다보이저 호에 타임캡슐 성격을 지닌 지구의 속삭임이라는 이름의 디스크를 함께 실려 보내냈다.

 

이것은 외계생물체에게 보내는 병 속 메시지같은 깨념이며고대의 언어 및 현대 중국의 방언을 포함한 55개 언어로 된 인사말지구의 다양한 정보와 문화를 알릴 수 있는 각종 음악과 소리사진 자료등이 포함되어있다.

 


2) 보이저 골든 레코드

 




보이저 골든 레코드는 금으로 도금된 12인치 동판 레코드로서 1977년 보이저 1,2 호가 발사되었을 때 함께 우주공간으로 보내졌다


이것은 축음기 음반으로서 지구의 여러 민족의 문화와 다양성을 나타내고 표현하는 음향과 사진이 담겨있다


우주에 우리의 메시지를 전달해 줄 12인치 금속 조각은 칼 세이건 바사와 그의 의원회가 설계하였다여기에는 지구의 상세한 도로 지도뿐만 아니라우주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 완벽한 여행 안내서가 담겨 있는 100장 이상의 사진이 들어 있다


보이저호가 관측임무를 다하고 우주여행을 계속하다가 이 보이저호를 인간 정도의 지적 수준을 가진 외계생명체가 발견하게 된다면 이 메시지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보이저가 다른 별에 가기까지 4만년 정도가 소요되고 우주선의 크기 또한 작기 때문에 외계생명체와 소통하려는 수단보다는 상징적인 전달일 것이다

 





상징적 언어로 된 설명서(커버)는 우주선의 기원과 레코드를 어떻게 작동시키는 지에 대해 쓰여져 있다

 


1. 레코드 재생방법 


 그림의 왼편 첫 번째두 번째 그림이 레코드 재생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위 그림은 레코드를 돌리는데 있어 가장 적절한 속도를 2진법 부호를 통해 설명하고 있다쉽게 인식할 수 있는 축음기 레코드와 레코드 바늘의 그림이 있다


바늘의 위치는 레코드의 시작점을 알려준다


아래그a은 레코드가 바깥쪽부터 실행되어야 함을 의미한다또한 레코드의 측면 바늘의 측면의 모습과 레코드의 재생시간이 한 시간임을 나타내는 2진수가 있다.

 


2. 비디오 등 영상 이이지를 재생하기 위한 방법 

 

 그림의 오른쪽 위편의 4개의 그림이 방법을 나타내주고 있다


첫 그림부터 살펴보자이것은 레코드에서 발견되는 비디오 신호의 일반적 파동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2진수는 스캔되는 시간을 알려준다아래그림의 파인 부분에서 2진수로 시간이 나타나진다위에서 세 번재 그림은 스캔을 통해 이미지를 표현하려면 512프레임의 수직 스캔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 아래 그림은 512프레임이 스캔이 적절하게 이해되었다면 가장 처음으로 나타날 그림은 원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외계인이 비디오 재생에 성공한다면 보게될 영상



43초 쯤에 나오는 미국  대통령 지미카터 말씀


이것은 작고 먼 한 세계로부터의 선물이며, 우리의 소리, 우리의 과학, 우리의 영상, 우리의 음악, 우리의 사상 그리고 우리의 느낌의 증표입니다. 


우리들은 당신들과 함께 할 수 있도록 우리의 시대를 살아 남기를 시도할 것입니다. 


우리는, 언젠간, 우리가 직면한 문제들을 해결해서 은하 문명권에 참여하게 되기를 희망합니다. 


이 기록은 우리의 희망과 결의, 그리고 방대한 경외로운 우주에서 우리의 친선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미국 대통령 지미 카터



3. 태양의 위치 


 왼편의 아래그림 이것은 파이어니어 메시지에 보내졌었던 그림이며 태양으로부터 나오는 14개의 펄서를 이용해 우리태양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파이어니어호란


파이어니어호는 파이어니어 계획으로부터 시작된다


소련이 스푸트니크 1호를 발사하자 미국은 국가항공자문위원회(NACA)에서 그 전부터 있었던 파이어니어 계획을 실행시키려고 한다


그러나 미국 항공우주국이 설립한 후 파이어니어 계획을 실행시켰다


파이어니어 계획은 단순히 우주탐사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우주 어딘가에 존재하는 다른 외계생명체를 발견할 경우 외계생명체에 지구의 존재를 알리고 파이어니어 금속판을 발견한 외계생명을 향한 메시지로서 인간의 모습과 태양계를 그린 금속판을 파이어니어 10호와 11호에 장착한 뒤 우주로 발사하였다.


10호는 1972년 3월 3일 발사함목성 탐사선, 결과 성공

11호는 1973년 4월 6일 발사함목성 토성 탐사선, 결과 성공


10호같은 경우 보이저호보다 앞서 발사 되었으며 지구로부터 약 122km를 날아갔으며 2003년 1월 이후부터 교신이 끊긴 상태이다.

이 때문에 현재 지구로부터 가장 먼 거리를 여행한 우주탐사선은 보이저 1호이다

 


4. 수소원자의 분자구조 


 오른편의 아래그림이 그림은 수소 원자의 가장 낮은 상태를 그린 것이다


점과 함께 잇는 두 개의 수직선은 양자와 전자가 회전하는 순간을 나타낸다


연결선과 숫자 1은 수소원자가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전이하는 것과 관련된 기초단위 시간으로 사용되었다는 것을 설명해준다.

 


<보이저 메시지에 담긴 지구>


음반에 넣을 내용은 칼 세이건이 의장으로 있는 위원회에서 결정되었다자연의 소리각국의 인사말음악그 당시 미대통령과 유엔 사무국장의 인사말도 첨부되었다


<지구의 소리>

고래파도코끼리로켓선박걸음걸이 소리 등.


<지구의 음악>

세네갈 사람들의 타악기 음악피그미족 소녀들의 전래 노래호주의 호른과 토템 노래 등.


<지구의 인사말>

인사말은 총 55개의 언어로 6천년전 수메르인이 사용하던 아키드어로부터 시작하여 근대 중국의 방언인 우로 끝맺는다다음의 언어들이 그것이다수메르어미얀마어이탈이아어우크라이나어네덜란드어러시아어한국어 등이 있다.


<지구의 모습(사진)>

보이저 호에 담긴 사진은 총 115개이며 이것들은 아날로그 형태로 부호화 되어 있다.

 

5. 근황


최근 나사 중대발표로 관심을 끌었던 보이저 1보이저 1호가 발견한 것은 태양계를 벗어나 성간(별과 별사이)으로 도착하기 전 마지막으로 들려야할 지역으로 새로운 영역인 자지장 고속도로라고 불려지는 곳이다보이저 1호는 이제 태양풍이 거의 영향을 미치는 마지막 영역에 도달한 것이다.


2012년 8월말 보이저 1호는 태양계 밖 우주에서 오는 고에너지 입자의 흐름인 우주선(Cosmic ray)의 세기와 태양에서 나오는 입자들의 정도를 파악해 지구로 전송하였다.

 

우주선으로부터 온 측정결과를 보면 태양계 넘어서 일어난 초신성 폭발로 인해 생성된 것으로 추측되는 우주 방사선들 중 고에너지 입자(대략 70Mev정도)들은 급격히 증가한 반면에 태양에서부터 생성된 저에너지 입자들의 양은 급격하게 감소 하였다.

 


↑ 우주 방사선이 급격하게 증가한다(2012년 10월)




↑ 태양풍이 급격하게 감소한다.(2012년 10월)




보이저 1호가 본격적으로 태양풍의 영향을 덜 받는 지점에 도달 했다고 생각한다.


이 지점을 지나고 나면 보이저 1호는 태양권이 아니라 성간공간에 도달하게 되는 셈이다.

 

아직 보이저 1호는 태양권의 안에 들어있기는 하지만 이제 태양풍과 태양 자기의 힘은 매우 미약해진 상태이다.


지금 지나는 영역은 태양 자기장과 성간 자기장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부위로 생각된다.


이 부분은 예측하지 못했던 것이다. 나사의 과학자들은 이곳을 마그네틱 하이웨이 (Magnetic Highway) 라고 부르고 있다.

 

태양계 넘어서 일어난 초신성 폭발로 인해 생성된 우주 방사선들 중 70 MeV 정도 수준의 고에너지 입자들은 양이 급격히 증가한 반면에 태양에서 나오는 저에너지 입자들의 양은 급격히 감소 했다



 

(여러 관측결과를 종합하여 새롭게 개정된 모델 2012년)



Termination Shock 


말단 충격층-태양풍경계


 태양풍의 영향이 줄어들고 물질의 밀도가 증가하기 시작한다.




Heliosheath 태양권 외각층


 우주로부터 날아오는 높은 에너지의 입자들로부터 태양계를 보호하는 공간으로 태양계의 끝자락에 위치하며 태양꼐의 칼집이라고 한다


 Heliopause


 태양의 태양풍이 별바람(stellar winds)을 충분히 밀어내지 못하는 경계를 말한다보이저 1호가 2014년에 이 경계를 지날것으로 예측되고 있다이곳을 지나면 온도는 급격하게 떨어지며 자기장의 방향도 달라진다 그리고 우주 방사선량도 증가 할 것이다.)


Bow Shock 


 태양풍과 성간풍이 만나는 충격파면



완전 최근 소식


2012년 12월 3일 나사의 과학자들은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은 태양권(지구의 태양이 지배하는 영역)의 영역을 보이저 1호가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자기장 고속도로로 묘사했던 이곳은 성간물질이 태양의 자기장에 압력을 가하고 그리고 이것은 매우 많은 느리게 움직이는 입자들과 함께이다


이것들은 태양계로 진입하는 빠른 성간물질 입자들과 함께 섞인다 자기장 안의 새로 발견된 이 영역은 보이저 1호가 경험한 termination shock(말단 충격)보다 10배는 강하다 


이것은 보이저 1호가 태양계를 완전히 벗어나 성간공간으로 진입하는 마지막 관문이 될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보이저 1호는 성간영역으로 2012~2015년 사이에 들어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Posted by ikSkyLand
Space/Information2013. 4. 14. 00:36


↑ 지구와 달 사이 거리 실제 스케일


↓ 보너스로 달 뒷편 사진

미국 항공우주국 달정찰 궤도탐사선 LRO(Lunar Reconnaissance Orbiter)가 촬영


찾다보니 달 뒷편에 전파망원경 기지를 짓는것도 하나의 좋은 방법이라고 합니다

왜냐하면 낮에 지구는 각종 전파이 난무해서 방해 받지만 달 뒷편은 그럴 일이 없어서..




아래는 달에관한 정보


달(Moon)은 지구의 자연위성으로, 태양계내의 위성 중 5번째로 크다. 


지구 중심으로부터 달 중심까지의 거리는 평균 38만 4400킬로미터로, 지구 지름의 30배이며,[1] 지구에서 태양까지 거리의 400분의 1이다. 


달의 지름은 지구의 약 4분의 1, 태양의 약 400분의 1인 3474 km이다. 달의 부피는 지구의 약 1/50 정도이며, 표면에서의 중력은 지구의 약 17%이다. 달은 지구를 약 27.3일에 일주하며(궤도 주기), 지구-달-태양의 위치 변화는 29.5일을 주기로 달라지는 달의 상을 만든다(회합 주기). 


달은 인류가 직접 탐험한 유일한 지구밖 천체이다. 


1959년 인류가 만든 최초의 무인 우주선이 달로 보내어진 것을 시작으로 1972년까지 6차례 직접 달을 탐사하게 되었다. 


이후 달탐사는 중단되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 달탐사가 재개되었고, 2020년까지 우주인을 보내는 탐사가 계획되어 있다. 


인도에서 발사한 달 탐사선 찬드리안 1호가 2009년 9월 26일 달에서 물을 발견하였다.


더 자세한 정보는 http://ko.wikipedia.org/wiki/달  참고



Posted by ikSkyLand
Space/Information2012. 9. 20. 00:21

먼저 엔더버호의 마지막 이륙 동영상




나사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이륙하는 엔데버호와 개조된 보잉 747



엔데버 우주왕복선 (궤도선 제식번호: OV-105)은 미국 NASA의 퇴역한 우주왕복선입니다


엔데버(Endeavour, '노력')라는 이름은 초등학생과 중학생이 참여하는 미국 내의 공모를 통해 선정되었습니다


인데버는 NASA의 5번째이자 마지막으로 건조된 우주왕복선입니다


최초임무는 1992년 5월 7일의 STS-49 비행입니다



NASA의 우주 왕복선 프로그램은 


2011년 7월 9일, 아틀란티스 우주왕복선을 끝으로 추가적인 STS 발사 프로그램이 종료되었고


그리고 남은 우주왕복선들은 모두 박물관 신세를 지게 되었습니다


그중 하나인 엔데버호가 오늘  캘리포니아주의 한 과학박물관으로 옮겨지기 위해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의 케네디우주센터에서 개조된 보잉747 비행기 위에 타서 배달을 가게 되었죠..


많은 사람들은 왜 멀쩡한 우주왕복선을 프로그램을 폐기 하냐고 묻기도 하는데


그 이유는 우주왕복선이 어느 정도 성공적인 발사체이기는 하지만, 근본적으로 발사 비용을 줄이겠다는 목표를 달성하지는 못했기 때문입니다


우주왕복선 개발의 모토는 자주, 싸게, 높은 재사용성을 지니며 운영하는 것이였습니다


원래 우주 왕복선 개발 이유가 발사비용을 줄이기 위해서인데 평균 발사 비용은 13억 달러(1.3조 원)정도가 되는데, 이는 초기 목표였던 1,000만 내지 2,000만 달러에 비해 엄청나게 큰 금액입니다


미국 항공우주국의 2005년 예산 중 30%인 50억 달러가 우주왕복선 계획에 사용된고도 합니다 ㅎㄷㄷ;;; 역시 천조국...


NASA는 우주왕복선을 대체하기 위해 오리온 우주선을 개발중에 있습니다


오리온 우주선에 대해 잠깐 소개하면


오리온에는 4명에서 6명의 우주비행사가 탑승하며, 새로 개발될 아레스 I을 이용해 발사된다.


이 계획은 2020년까지 사람을 달에 도달시키고 이후 화성 등의 다른 태양계 행성들까지 도달시키는 것이 목표이다. 


2006년 8월 31일, 미항공우주국은 록히드 마틴을 오리온 우주선의 설계, 개발, 제작에서 주계약자로 선정했다.


이전에 CEV(Crew Exploration Vehicle)로 알려졌던 오리온 우주선은, 케네디 우주센터에 위치한 현행의 우주왕복선과 같은 발사장에서 발사될 예정이다.


미항공우주국은 오리온 우주선을 현재 운용중인 세 대의 우주왕복선이 2010년 퇴역한 뒤부터 그들의 유인 우주비행에 사용할 계획이다. 


오리온 우주선은 2014년 말에서 2015년 초에 국제우주정거장에의 보급을 위한 비행을 시작할 것이며, 그 뒤로는 달과 화성에의 비행에서 핵심 요소가 될 것이다.


LSAM(Lunar Surface Access Module)은 달착륙선이다. CEV(Crew Exploration Vehicle)는 오리온 우주선이다. 오리온 우주선은 국제우주정거장 도킹이 가능하며, 지구귀환이 가능하다.  - 위키피디아 펌


파일:Ares I launch.jpg

오리온 우주선을 발사하는 아레스1로켓



마지막으로 엔데버호(Endeavour)의 사진으로 글을 마무리합니다..


로스엔젤레스로 가기위해 대기중인 엔데버호와 개조된 보잉747 



STS-130 미션의 비행사 Kay Hire 








엔데버호가 개조된 보잉747기에 탑제되는걸 타임랩스로 촬영한 유튜브 영상


이것도 위랑 똑같은 타임랩스.. 




관련 홈페이지 

http://www.nasa.gov/mission_pages/shuttle/main/index.html


http://www.nasa.gov/mission_pages/transition/gallery/gallery-index.html







Posted by ikSkyLand